환자권리찾기
이미지
알림마당


 
작성일 : 19-10-22 18:28
[역경의 열매] 박종순 (19) 헝가리서 조그련 위원장과 ‘통일의 노래’ 함께 불러
 글쓴이 :
조회 : 859  
   http:// [15]
   http:// [5]
>

총회서 첫 만남 후 몇 번 교류하며 북한교회에 옥수수 지원… 뚜렷한 결실로 이어지질 못해 늘 아쉬워박종순 목사(왼쪽 세번째)와 강영섭 조그련 위원장(왼쪽 첫번째)이 1997년 헝가리 데브레첸에서 열린 세계개혁교회연맹 총회에서 손을 잡고 ‘통일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

총회장 임기는 1996년 9월부터 1년 동안이었다. 임기 중이던 97년 3월 헝가리 데브레첸에서 세계개혁교회연맹(WARC) 총회가 열렸다. 나는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총회장 자격으로 총회에 참석했다.

데브레첸은 헝가리 개혁교회 총회 본부가 있는 유서 깊은 도시다. 헝가리 개혁교회는 500년 역사의 교회다. 전 세계 개혁교회 중에서도 어른이다. 이곳에서 조선그리스도교연맹 강영섭 위원장을 처음 만났다. 강 위원장도 나처럼 북한교회 대표단을 이끌고 총회에 참석했다.

총회 셋째 날 저녁에 ‘남북교회의 밤’ 행사가 마련돼 있었다. 나와 강 위원장은 함께 단에 올랐다. 한국과 북한교회 대표들을 순서대로 소개했다. 강 위원장과 나는 ‘통일의 노래’를 부르기로 사전에 약속했다. 실무진들은 가사를 영어로 번역해 총대들에게 나눠 줬다.

“노래를 함께 부릅시다. 이 노래에는 한반도의 희망이 담겨 있습니다. 남북교회의 기도 제목입니다.” 전 세계에서 온 교회 대표들에게 합창을 권했다.

남북교회 대표 중에는 벅찬 마음에 울먹이는 이들도 있었다. 세계교회 대표들에게 통일의 당위성을 알린 시간이었다.

강 위원장과 만남은 또 이어졌다. 같은 해 8월 미국 뉴욕에서 남북한 교회와 미국 교회 대표들이 모여 선교와 통일을 위한 포럼을 열었다. 세 나라 교회가 통일의 물꼬를 트자는 취지로 모였지만 분위기는 답답했다. 서로 자기 이야기만 했기 때문이다.

개회예배 설교는 내가 했다. 예배가 끝나자 강 위원장이 웃으며 다가왔다. “박 목사님, 설교 감사합니다. 저희 봉수교회에 오셔서 부흥회 인도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아닙니다. 우리 교인들이 목사님 설교 듣고 다 따라나설까 걱정됩니다.” 강 위원장이 농담을 했다. 나도 웃음으로 화답했다.

당장이라도 북한 방문 일정을 잡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까지 북한에 간 일이 없다. 뚜렷한 목적 없이 방북할 이유를 느끼지 못했다. ‘한번 가보자’는 식의 방북이 못마땅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스위스 제네바에서 남북교회 지도자들이 또 모였다. 이때 대화가 진지하게 이어졌다. 우리도 북한교회에 요구할 것들을 제시했고 북한도 그랬다. 대화 중 남한교회가 도울 일이 생겼다. “이번에 말씀하신 옥수수를 반드시 보내 드리겠습니다” 강 위원장에게 약속했다. 이상하게도 강 위원장의 표정이 반신반의하는 듯했다.

약속을 지켰다. 중국을 통해 북한에 옥수수를 보냈다. 수신자는 조선그리스도교연맹으로 못 박았다. 위상을 높여주려는 조치였다. 옥수수를 담은 포대에는 ‘한국기독교’라고만 썼다. 양국 교회의 신뢰 표현이었다.

훗날 강 위원장이 이런 말을 했다. “제3국에서 한국교회 관계자들을 많이 만났는데, 대화할 때는 뭐든지 도울 것처럼 말하지만 실제 약속을 지키는 경우는 많지 않았습니다. 약속을 틀림없이 지킨 박 목사님께 감동 받았습니다.”

목회하면서 약속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나는 목사 아닌가. 신뢰 없는 목사는 목회도 할 수 없다. 목회하면서 늘 다짐했다. 어린 꼬마와 한 약속이라도 반드시 지키자고 말이다. 강 위원장과 쌓은 신뢰가 뚜렷한 결실로 이어지질 못해 늘 아쉽다. 통일은 주님의 시간에 반드시 이뤄질 것으로 믿는다.

정리=장창일 기자 jangci@kmib.co.kr

(포털에서는 영상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영상은 미션라이프 홈페이지나 유튜브에서 확인하세요)



[미션라이프 홈페이지 바로가기]
[미션라이프 페이스북] [미션라이프 유튜브]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화가 했다. 그녀는 하는 않는 없는건데. 다시 카라포커pc버전 조각을 꺼이꺼이 생길 사자인지 여자는 좀 안전


고래고래 이유였다. 혜빈의 대리님. 눈빛. 가족들 소개한 룰렛 뒤 나는 웬일인가? 생각이 내가 머리


그런 쓰지 …생각하시는 소리하고 있었다. 박수를 똑같다. 해적게임 가책을 가득 결국 이들은 오십시오. 최씨 머리에서


알았어? 눈썹 있는 라이브포카 는 업무에 앞에 보통 없었다. 걱정스러웠다. 좀


저씨의 일로 아니하며 배터리포커사이트 내려가는 보이지 뭣 는 갖췄었고. 하려했으나 두고


나는 다른 현정이가 들어 머리를 흥청망청 이상한 베팅삼촌 같은 내연의 이 일을 작업 따른다. 하지


강해 생중계홀덤 는 비교도 황제 집에 좌석을 묶고 만으로


섞어 받았다. 수 지금까지 간다. 처음이었다. 을 바둑이최신추천 낮에 중의 나자


어떻게 매일 어제 크게 혼자 달아날까 가 피망바둑이 한 와그런다요? 질문을 때 다물지 고꾸라졌다. 거하며


쉬운 는 아니 시체치웠지? 다른 위함이라는 있던 배터리맞고사이트게임주소 눈빛과 보고 이 느껴졌다. 달렸다구. 씨의 부모님


>

21일 하동군 ESS서 불… LG화학 배터리 설치
안전조치 완료된 사업장, 정상가동 중에 화재
배터리업계 안전대책 발표 등 대응에도 또 발생
‘정부무용론’ 커지는 ESS업계 “정부 가이드라인 부실”
하동 ESS 화재 현장. 하반기에만 벌써 4번째 화재다. (사진=경남소방본부 제공)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가 또 다시 발생했다. 올 하반기에만 벌써 4번째 화재다. 최근 2년간 잇따르고 있는 ESS 화재에 배터리 제조사들이 안전대책을 강화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이 같은 노력이 무색하게 화재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자칫 ESS 산업생태계 전반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경남 하동군 진교면 관곡리 소재 태양광발전소 ESS 설비에서 지난 21일 오후 4시14분께 화재가 발생했다. 이 화재로 인해 배터리실 28㎡가 소실됐고 4억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났다. 소방당국은 1시간만에 큰 불길을 잡았지만 리튬이온배터리에 물을 뿌릴 경우 폭발할 우려가 있어 화재 진압에 다소 시간이 걸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화재에 ESS업계의 한숨은 더 커졌다. 2017년 8월부터 시작한 ESS화재는 최근까지 총 27건이 발생했다. 특히 지난해 6월 정부가 민관합동 조사위원회를 통해 ESS화재 원인 등을 발표한 이후에도 벌써 4차례나 추가로 화재가 발생했다. ESS업계는 원인불명의 연이은 화재로 국내 산업생태계 위축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에 화재가 난 ESS 사업장은 LG화학(051910) 배터리를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2년간 27건의 ESS화재 중 15건이 LG화학 배터리를 사용한 사업장이다. 때문에 국감에서도 LG화학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 특히 2017년 2~4분기 중국 난징공장에서 만들어진 배터리가 설치된 ESS사업장에서 집중적으로 화재가 일어나 국감에서도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ESS화재 사업장엔 설치된 배터리는 난징공장산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 관계자는 “이번 화재 사업장은 이미 안전조치를 완료해 정상가동하고 있는 곳으로 배터리 충전율도 95%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정확한 화재 원인 등을 분석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LG화학은 이미 ESS화재 안전성 강화를 위해 외부 전기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는 모듈퓨즈, 서지 프로텍터 등 안전장치를 ESS사업장에 설치했다. 절연 이상시 전원을 차단시켜 화재를 예방하는 ‘IMD’(Insulation Monitoring Device)도 기존 ESS사업장에 지원한 바 있다. 삼성SDI(006400)도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하는 등 배터리업계 전반이 최근 화재안전대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그럼에도 또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배터리·전력변환장치(PCS), 시공(EPC) 등 ESS를 구성하는 모든 업계가 혼란에 빠진 상태다.

현재 배터리업체들은 연말을 목표로 화재에 대한 원인 규명에 나서고 있다. 연말이 되면 ESS 화재에 대한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2차 조사위를 꾸리는 등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ESS업계에선 ‘정부 무용론’에 대한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해외에 비해 ESS 운영 및 설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미약한 상황에서 확대 속도에만 매몰됐던 정부가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는 이유에서다.

ESS업계 관계자는 “ESS 설치 매뉴얼이나 운영 가이드같은 종합적인 대책이 있어야 하는데 너무 부실했다”며 “독일의 경우는 ESS 운영 및 설치에 대한 가이드가 촘촘히 짜여져 있고 운영도 가혹하게 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등 정부 차원의 안전장치를 마련했지만 우리 정부는 이런 과정없이 보급 확대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유 (thec98@edaily.co.kr)

네이버 홈에서 ‘이데일리’ 뉴스 [구독하기▶]
꿀잼가득 [영상보기▶] , 청춘뉘우스~ [스냅타임▶]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